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은대로 거둔 90년대생들

by 조각몸매 이휴재 2024. 1. 18.
반응형

아인슈타인은 ,, 삶을 사는 방식에는 오직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모든 것을 기적이
라고 믿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기적이
없다고 믿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들을 우주
는 가져다준다. 이것을 알고나면 무엇이
든 보물지도로 만들 수 있다. 사람들이 원
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유일한 생각이 현
실을 창조한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기 때
문이다. 현대인들은 대채로 엄마에게 꾸
중듣던 생각이나 지나버린 날들에 대한
미련이나 후회막심해하기 일쑤다. 그러
다보니 미래에 대한 대비에 소홀하다는
게 미래학자들의 지적이다.

물론 요즘에는 초등학생들이 노후걱정을
한다는데 그렇게 걱정이 되면 출산을 해
야된다. 우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OECD
국가들 중 최고라지만 지금과 같이 저출
산 기조가 이어질 경우 지금의 초등학생
들이 노후를 맞을때쯤이면 훨씬 더 비참
해질지 모르기때문이다.

지금은 연금이라도 수령받아 그럭저럭
생활이 가능하다지만 그때가 되면 지금
의 초등학생들의 부모세대가 받은 연금
이 빚이되어 돌아온다면 감당하지 못할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지금의 처한 상황이 당신에게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상황을 바꾸겠다고
마음만 먹으면 안 될 이유가 없다. 한때
십장생이라는 말이 유행했었는데 이는
십대들은 장래 백수가 될거라는 말이 있
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가 한창 출산 장
려정책이 시행되던 무렵이다. 이에 대해
선 나조차 말도 안되는 전망이라고 생각
했었다. 그렇다면 20년 후에도 우리나라
는 실업자들이 득실된다는 것인데 이를
상기하면 그들이 무척 불쌍해보였다.
저들의 신세가 아닌 생각하는것 자체가
불쌍했던 것이다.

2000년대 초중반에 십대라면 대략 80년
대 후반에서 90년대 사이에 태어난 세대
들이다. 현대인들이 그토록 되돌아가고
싶어하는 시대에 출생한 것이다. 우리의
선조들은 위기때마다 불굴의 투지와 지
혜로 극복한 저력을 보여왔다. 따라서 ,그
들은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을까!,생각한
다면 스스로에게도 질문해보기 바란다.
존경하는 사람들이 결국 역경을 이겨내
고 태평성대를 이루었듯이 이미 그들처
럼 되어 승리한 듯이 머릿속에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정작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당시 그러한 생각을 하고 말했던 십대들
은 결국 뿌린대로 거둔다고 했듯이, 백
수가 되고 말았다.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긍정의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