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신의 어려움을 모르면 남의 어려움도 모를까!

by 조각몸매 이휴재 2024. 1. 29.
반응형

어떤 책에서는 자신의 어려움을 모르면
타인의 어려움을 알지 못한다고 저술한
것을 보았다. 정녕 그렇다면 백이면 백이
면 백이 모두 자신이 쉽게 살면 다른사람
들도 쉽게 산다고 생각할까! 정말 그렇다
면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는 말은
나오지도 않았을지 모른다.

이렇게 말하면 당연히 어렵게 살다가 쉽
게 살게 되면 자신이 어렵게 살던 기억을
망각한다고 볼 수있다. 그렇다면 조선시
대, 세계인류 역사를 통틀어 이같은 성군
은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
라는 평가로도 부족한 세종대왕의 행보
를 상기해본다. 그는 조선의 4대 군주로
말 그대로 4대째 이어진 애매랄드 수저였
다. 따라서 그는 수정란 속에서도 어려움
을 겪어보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출생과정에서 생모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준 패륜아로 매도되는게 당
연할 것이다. 물론 이는 역대 왕들이나
백성들도 마찬가지였겠지만.

암튼 조선의 르네상스 시대를 연 세종대
왕에 대해서는 업적만큼이나 구설수도 다양해서 한때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
인 명단에서 재외될 위기에 봉착하기도
했었다. 우선적으로 세종대왕의 의혹 중
핵심은 그가 노예제를 법제화했다는 것
이다. 그렇다면 그가 과연 노예제도의 핵
심 설계자라고 볼 수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YS가 IMF를 초래한 근본적인
책임자라고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를
부추긴 잠재적 원흉들은 거론하는 않은
채 말이다.

당시까지는 소비가 미덕이었던 우리나라
에서 무분별한 과소비를 벌인 국민들과
금융실명제를 피하기 위해 검은 돈을 해
외로 빼돌려 외화를 낭비한 기업인들의
책임은 묻지 않은 채 말이다.(물론 일부
기업인들도 도의적인 책임을 지긴했다.)
아울러 조선시대 당시 노예제를 법제화
한것은 선대왕이던 태종이었다. 하지만
당시 유교가 국교이다시피했을 정도로
지배적이던 유학사상을 따를 수밖에 없
었기에 부친의 정책을 계승해야만 했던
것이다.

그러한 노예제를 폐지한 인물은 영조였
는데 그래야만 했던 것은 그가 세종실록
을 읽은 직후였다. 따라서 세종대왕은 양
반들한테만 성군이었고 평민들한테는 폭
군이었다고 판단한 것은 그만큼 현대인
들이 역사를 잊어가고 있다는 증거다. 나
라에 흉년이 들면 궁궐을 짓고 풍년이 들
때까지 사셨던 분, 도성 100리 밖에서 굶
주리는 백성이 있다면 관리들을 용서치
않겠다고 하신 4대째 애매랄드수저로 자
란 이도의 삶이었다.

또 세종대왕의 왜곡된 실록중에는 평소 세종대왕이 고기편식을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대 왕들에 비해 수랏상이 소
박했다는 말은 와전된걸까! 이는 아마도
세자시절의 예기일 것이다. 어린아이들
이라면 당연히 반찬투정을 하기 마련이
다. 궁핍하게 살아도 반찬투정은 한다.
그러니 애매랄드수저로 자랐기에 더더욱
그럴수 있었다.

더구나 태종의 전횡을 보고자랐기에 다
소 버릇이 없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당시 관리들과 백성들 사이에서
는 ,그 애비에 그 자식,이라는 소문이 무
성했다. 그러다보니 집현전 학자들 사이
에서도 이도의 평판이 좋지 못할거란 판
단하에 일부 실록을 왜곡했을거란 추측
이다. 그런데 세종을 까는 한 유튜브 동
영상을 보면 세자시절로 추정되는 장면
에서 삼겹살중에서 젤루 맛있다는 짚불
삼겹살을 즐기는 모습을 보았다. 맛있는
만큼 삼겹살 가운데서도 고급음식이었을
거라 사료된다.

나도 그냥 삼겹살은 먹었어도 짚불 삼겹
살은 먹어본 적 없기에 맛있을거라는 표
현이다. 좌우지간 그렇게 고기편식을 했
다고는 하지만 나이들면 대게 소식을 한
다. 태종은 아들에게 먹일 고기를 구하고
자 백성들의 농기구인 소를 빼앗기도 했
다. 그리고 재위 30년간 무려 1천회 이상
민심탐방을 한 왕으로 전해진다. 사실 세
종뿐 아니라 자신보다 낮은 위치의 사람
들을 자신보다 위한 사람도 적지않다.
치우천왕부터 윤석렬 정부에 이르는 동
안 그런사람은 없었다는건 말이 되지 않
는다.

그러면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
다. 어럽게 사는 사람을 모르는게 아니라
알고도 외면하는거라고 말이다. 지난 16
대 대선 당시 옥탑방의 존재를 두고 논란
이 일어난 바 있었다. 당시 후보들이 각
각 애매랄드수저 출신과 흙수저 출신으
로 이른바 ,계층간의 대결,로 유명했던
당시 대선전에 여야후보 모두가 옥탑방
을 모른다고 했었다. 당시 반지하에 거주
하던 나조차도 옥탑방을 몰랐다. 그런데
왠일인지 어린시절 대부호였던 집안에서
자란 어머니는 옥탑방에 대해 알고계셨
던 것이다. 지금 옥탑방에 대해 묻는다면
아이돌그룹 ,엔프라잉,의 노래로 기억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같은 계층이라도 서로
를 모를 수도 있고 나와는 다른 환경이나
처지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배푸는 삶을 사는 사람
들도 있다. 이에 대해선 색안경을 끼고 바
라보는 고정관념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