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망을 향한 나의 열정

by 조각몸매 이휴재 2024. 2. 3.
반응형

요즘에는 책을 출간하려면 저자가 다량
으로 구매비용을 지불하고 계약을 해야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왠만한 배스트감
이 아니면 저자가 구매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방식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는 자비
출판과는 다른 방식이다. 어떤 판사에서
는 저자가 도서 500권을 주문해야한다고
하기에 계약을 취소하였다. 어이가 없었
던 것은 한 책쓰기 카페 게시판에는 계약
후기가 올라온다. 어떤 후기는 내가 투고
하던 출판사가 나한테는5000권 구매비
용을 요구하고선 다른 저자에게는 선인
세까지 지불하고 계약을 했던 것이다.  
초보작가이고 전업주부가 쓴 육아책인데
어쩌자고 그랬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다.
나중에 알고 보니 투고한 작품이 베스트
셀러감이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었다.

선인세를 받고 출간된 도서는 해외로도 수출된다. 그렇다고 모든 베스트셀러 도
서가 그렇다는게 아니라 예상을 뛰어넘
는 작품은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책
쓰기 과정을 수료한 어느 예비 작가는 10
곳이 넘는 출판사에서 승인을 받았지만
전부 거절했다고 한다. 그 이유가 계약 조
건이 좋지 않다는 이유였다. 이에 대해서
는 무언가 미심쩍은 부분을 발견하게 된
다. 또 이러한 경우도 있다.

기획출판사의 경우 말 그대로 원고를 투
고하기에 앞서 출판기회서를 작성하는곳
도 있다. 기획서를 작성하고 본문은 배재
한 채 제목과 목차만 제출하면 그것만 보
고도 출간 여부를 결정한다. 나도 출판 기
획서를 작성한 바 있었는데 당시 내가 작
성한 기획서 목록이다.

제목 : 어쩌다 지천명

총 페이지 수 : 300(실제로는 256)

주 독자층 : 20~30대 청년

작품의 목적 : 청년들에게 용기와 희망의
매세지 전달

이상 소제목과 목차 순

위의 사례를 통해 명확한 목표를 달성하
고자 했다. 그런데 어느순간부터 본문
내용 전체를 작성하는 제도로 변경되었
다. 이전에는 기획서가 그럴듯하면 승인
이 되고 이후 본문을 전개하면 되었지만
선인세만 받고 잠적하는 비양심적인 투
고자가 많아 방식이 까다릅게 바뀌었던
것이다. 아마도 10곳에서 승인 받았다는
그 작가 지망생도 그렇게 잠수타고선 핑
계를 댄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든다.
이는 작가들의 자질이나 도덕성의 문제
이기도 하다. 본문의 주제와 디소 엇나가
는거 같아 여기서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