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이어야 하나. 티스토리를 시작한 경로는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서였다.
물론 포스팅을 진행중인 지금도 티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긴하다.
그런데 관련 동영상이나 포스트를 보면 주제 선정에 대해서는 각자 다른 목
소리를 내는 것 같았ㄷ자. 어느 소식통은 티스토리 주제는 일관성이어야 한
다고 한 반면, 다양한 주제 가운데 수익창출을 더 많이 할 수있는 분야가 나오
게 될 것이라고 한다.
사진은 티스토리 1년차를 맞아 경제분야 포스팅에 도전을 해보았다. 그래도
평소 자신이 관심있고 자신있는 분야에 접근해야하는 것이 안성맞춤이라고
느껴진다. 그래서 그동안 동기부여나 취미생활, 건강, 복지, 여행 등의 분야를
주제로 포스팅을 해왔다.
유튜브의 경우는 줄곧 일관성을 강조한다. 블로그가 아니라 유튜브 채널 자체
말이다. 예를 들어 '책한민국'이라는 채널명이 있다. 채널명만 들어도 충분이
어떠한 주제인지 감이 올 것이다. 도서리뷰나 낭독하는 영상이라는 추측이다.
그러니까 해당 채널이 먹방이라든가 여행 브이로그를 찍는다면 이상하자나!
물론 연계시킬 순 있다.
여행정보나 음식을 만드는 레시피를 책에서 다루면 이를 통해 소개할 수는 있기
때문이다. 입장을 바꿔 빠니보틀이 현지에서 책을 소개할수도 있다. 여기서 다루
고자 하는 것은 티스토리와 유튜브의 규칙이 같냐는 것이다. 규칙이랄것도 없지
만 반드시 주제가 일치해야 한다는 보장이 있냐는 것이다. 어느 블로거는 돈이
된다는 분야에 집중적으로 포스팅을 했지만 좀처럼 수익이 나지 않아 관련 영상
을 올린 유튜버에 따져물었다고 한다.
그러더니 해당 유튜버는 건강을 주제로 한 경우 효능과 효과 리뷰는 X, 여행정보
도 국내 여행은 X라고 했다는 것이다. 건강 정보야 음식 리뷰에 경우 효능이나
효과는 기존에 타 매체나 제품에 개제되어 있어 그렇다치더라도 여행의 경우는
해외 여행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하긴 우리나라는 도시국가로 불릴 정도로 좁으
니까 왠만한 곳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알 수있기에 그렇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아로스TV를 운영하는 아백(갈갈이 박준형을 닮았드만!)의 광고에 의하면
국내 여행이든 주제는 다양해도 상관없다는듯이 설명한 바 있다. 물론 주제는 특
정분야가 아니라도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 하루에 매일 1달러씩 꾸준히 들어오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