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 아니면 '도'다

by 조각몸매 이휴재 2024. 2. 27.
반응형

많은 미혼자들이 이런나라에서 아이 낳고 살아야 하냐고 항의하곤 한다. 의료인력

늘이면 자신들의 파이가 준다는 이유로 파업하고 아이들 소리 시끄럽다며 돌봄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나라라고 말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들은 저출산 고령화와도 무관

하지 않다.

 

dpsehfmvlsdl dntdmf Eo aksgdl skdhsms rjtdmfh dkfrh dlTek. 그런데 그것보다 더 많은

엔드르핀이 나올 때가 잇다. 고독하거나 외로울 때 엔드르핀 많이 나온다고 한다. 언제

부턴가 우리는 극단적인 개인주의에 익숙해져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기혼자

들의 1.46%가량은 동네에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증설되면 아이를 두 명 이상 낳을 의향

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러한 정책이 확정되면 주민들이 반대한다고 한다. 집값 하락과 주차문제를 포

함하여 아이들 떠드는 소리가 시끄럽다는 이유였다. 어떤 이는 아이들 떠드는 소리에

낮잠에 방해가 된다고 민원을 제기한 사람도 있었다. 사실 이것은 몇 년 전 한 일간지의

사회면 기사로 났던 일이다. 이 때문에 수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동네에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들어서지 못하고 있다. 이를 설득해야 할 지자체는 표를 의식해서인지 여전

히 설계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나는 외로움과 고독을 즐기는 것으로 생각전환을

해보았다.

 

내거 결코 잉여인간이 아니라는 자기 긍정을 하는 것으로 한단하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느냐 원치 않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만약에 원치 않은 일을 맞닥뜨리게

되면 스트레스만 가중될 뿐이다. 사람들마다 무엇을 원치 않은지에 대해서는 다양하기에

통틀어 말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골든타임이 남아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앞글에서 거론한대로 여전히 아이는 태어

나고있기에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출산 수가 줄고있어 문제라는

것이다. 50만 명선이 붕괴된지 22년이 되는데 이후로 40만 명선이 붕괴되고 30만 명 선

마저 붕괴되기까지 5년도 채 걸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40만 명 선에서 30만 명선으로 내

려앉기까지 15년이 걸린 것에 비하면 그 절반수준의 속도로 빠르게 진행된 셈이다. 40만

명 선 시절에는 출산율이 반등하던 해도 있었다. 특히 2012년에는 합계 출산자 수가 50

만 명선에 근접한 바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아마도 3년도 되지 않아 20만 명선도 붕괴될

것 같다!

 

앞서 미혼자들의 경우 가까운 곳에 돌봄시설이 마련된다면 출산의향이나 기혼자들도 두

명 이상 생각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어째서 지역주민들은 돌봄시설이 들어서는데 대해

결사반대할까 묻고 싶다. 더 기막힌 사실은 단지내에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생기면 돌봄시설

확충에 쌍수를 들어 환영했을 것이라고 한다.

 

워낙 아이들의 소리를 들은지 오래다보니 오히려 고요한 게 익숙해져버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긇게 현대인들이 고독을 이제는 즐기려 하는 것 같다고 볼 수있다. 그러다보니 의도적으로 고

독을 즐기는 경우 베타 엔드로핀이 9.7% 상승한다는 것이다. 글거므로 이를 장점으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일상에 찌든 사람들은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도 여러 모로 좋은 점이 있다.

우선 자신을 돌아보는 갖게 됨으로써 마음의 변화가 몸의 벼ㅑㄴ화로 이어질 수있다. 또한 집중

적으로 독서힐 수있는 시작이 된다. 책을 읽거나 글을 쓰면서 자신에 대하해 알아가고 무언가

개달음을 얻게 되는 하나의 공간이 되어 준다.

 

아마도 돌봄시설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전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는 살아가는 이유과

명분을 찾게 된다. 그렇지만 영국에서는 외로움도 질병으로 진단한 바 있는데 그 이유는 외로움은

곧 우울증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살면서 만사가 귀찮아 질 때가 있는데 이는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이 있다. 그것이 긍정의 힘으로 살면서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가치 있는 일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