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달의 민족도 배달비 제도 폐지된다

by 조각몸매 이휴재 2024. 4. 2.
반응형

우리나라에 3대 배달앱이 있다. 업체로는 요기요, 쿠팡이츠, 배달의

민족 등등. 그래서인지 우리나라는 언제부턴가 배달의 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배달의 민족이 흔들리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다. 이는 배달업체를 말하는데 자장면이 먹고 싶

다면 자장면이, 치킨이 먹고 싶으면 치킨을 전화 한통만 때리면 배달

되는 편의를 누리곤 했다.

 

그런데 지난 정부때부터 시행된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여파

로 인력을 줄이거나 배달비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다보니 배달율도

점차 줄어들기도 했다. 배달비 부담에 주문횟수가 줄면서 배달업체의

적자가 누적되어 이러한 말이 돌곤 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의 명대사

가운데 하나였던 "이러다 다 죽어!"라는 말이 대두되곤 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고작 1000원~2000원의 배달비가 아까워 주저하냐는 말도

듣기도 한다. 그렇지만 돈이 없어 밥도 굶는 사람들이 많은 현실을 보면

부담되기 충분할 수있다.

 

그러자 배달비 제도 폐지가 수면위로 올라온 것이다. 먼저 배달비 제도

를 폐지한 업체는 쿠팡이츠다. 그러다보니 앞다퉈 배달비 폐지를 시행

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한시름 놓았다고 할

수있다.

 

2023년 7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던 배민은 경쟁업체인 쿠팡이츠가 유료

맴버십 회원제에 한해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에 배민도 추격에 나

선 것으로 볼 수있다. 하지만 배달비 폐지가 출혈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

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다라서 배달의 민족의 독점체재가 가속화 될수

있다는게 업계의 우려다.

 

그리고 현 시점에서 무료배달이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다.

배달비 부담으로 인한 주문량 감소만이 아니라도 저출산으로 인한 소비

인구 감소도 주문횟수가 줄어드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이에 배민측은 

그동안 벌어들인 수익의 60%를 시장 점유율을 방어하는데 투입하겠다

는 취지다.

 

배민은 지난 2년간 흑자를 내면서 쇄신중이다. 지난해에는 3조4155원

으로 전년 대비 1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988억원으로 지난해 42

41억원보다 65%나 늘었다. 이미지 사진은 지난주  5000원짜리 점심에

관한 포스팅에 업로드하려고 했지만 당시 접속이 되지않아 일부 분산해

얼렸다. 또 하나의 배달업체인 '요기요'는 무료배달을 적용한 구독제 요

금을 낮추면서 경쟁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