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15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했는데 되레 방문자 수가 줄다 등록 전만 하더라도 하루에 200~300명 정도 방문하던 회원수가 새 않는다. 지난해 연말 등록한 이후 1일3포로 포스팅을 확대해 갔으나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그래서 그냥 1일1포를 해야하나 고심하게 되었다. 유튜브 영상을 보니 1일5포를 해야한다 고 나온다. 누군가는 방문자 수가 중요 한게 아나고도 했지만 그것도 어느정도 라야 된다는 생각이다. 본 포스팅을 방 문해 댓글을 다시는 님들 가운데에는 서치콘솔에 등록한 경력이 있으면 자문 좀 부탁드린다. 누적 방문자 4만명대이 고 구독자1200명인 내가 거꾸로 피드를 받아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세상 만사 모든 일이 뜻대로만 되는건 아니라지만 웬즈이 기분이 씁쓸하도다. 2024. 1. 6. 꿈을 현실로 만드는 상상파워 미국 하버드대학교 제너럴 잘먼트 교수 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이렇게 밝혔다. ,,인간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인간의 사고, 감정, 학습의 95% 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95%가 무의식이라는 것이다. 고로 90%이상이 무의식에 의해 행동한다. 불과 10%만이 의식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제 이무리 10% 의식적으로 생각해봤자, 인간의 행동을 91% 관장하는 무의식의 힘이 훨씬 크기때문에 변화가 쉽지않다. 아무 리 많은 사람들이 성공철학을 알고있어 도 부정적인 무의식은 변하지않기 때문 에 삶의 변화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늘 실패하는 사람들은 구차한 변 명을 늘어놓는다. 지기계발서의 실체라 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자기계발서가 베스트셀러 보증수표가 .. 2024. 1. 6. 동기부여 마인드넷 상상은 누구의 어머니일까? 성공은 실패의 어머니라고 했다. 그러니까 그러한 상상력은 어디에서 파생되는 거냐는 것이다. 누군가는 상상은 곧 성공이라고도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 아마도 할머니라고 볼 수있을 것이다. 상상한 대로 실천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울러 징조를 상상이라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아니 거의가 그렇 게 알고있다. 반대로 기대되는 상상도 징조라고 할 수있다. 그러니까 까치가 날아들면 오을 하루 예감이 좋을 것 같다는 논리이기도 하다. 그러한 의식을 갖는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중에는 무의식으로 임하는 경우도 있다. 어차피 될 일도 없는데 걍 하루 살다보면 지나갈 것이라고 보기도 하기때문이다. 아울러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고 생각해야 한다. 사람들은 과연 이전과 다르게 살아갈 수 있.. 2024. 1. 6. 정도전처럼 도전하고 정몽주처럼 지켜라 언뜻 보면 제목이 안 어울린다고 생각할 수있다. 도전하는거와 지키는건 상반된 행위라고 보기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럴듯하게 비슷한 면도 있다는 분석이다. 도전과 반대되는 것은 안주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제목이 추구하는 의미는 무엇일까! 두 사람이 살던 시대는 지옥 중에서도 젤루 밥맛 떨어지는 아비지옥과도 같은 상 황이었다. 원래 정 듀오는 절친사이였다. 그러나 향후 조국의 노선을 놓고 반목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을 빚게 된 사이가 된다. 어느정도였냐면 갈등의 골은 깊어져 결국 한 사람이 사라져야 했을 만큼 두 사람의 관계가 악 화일로였던 것이었던 것이다. 당시 고려라는 나라꼬라지가 동지를 적으로 만든 셈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도전 은 고려는 지도상에서 사라져야할 나라라고 생각한 반면, 정몽주는 전면개조해야 .. 2024. 1. 5.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