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23

과거에 연연하면 미래를 발목잡힌다 인류역사에 있어 지나치게 과거에 집착하다보니 진일보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사례를 알 수있다. 그러다가 되돌아보면 땅을 치고 후회했을만 한 절호의 기회를 걷어 찬 우를 범한 것도 한 두번이 아니라고 본다. 우리나라의 근대사를 보더라도 현대인들이 특히 많은 전문가들이 만약에 대원군이 좀 더 일찍 개화를 했더라면 가상시나리오를 전망한 바 있었다. 물론 이는 가상 시나라오도 아니고 반드시 그렇게 될 수 있었을거란 확신에 가깝다. 그러니까 일본에 의해 개항되기 전에 프란스나 미국으로부터 통상조약을 채결 했다면 훗날 일제식민지도 없었을테고, 남북분단도 없었을거라고 말이다. 그 뿐이면 글을 쓰지 않는다. 2000년대 이후에 우리나라의 인구는 1억을 넘었을거고, 1인당 소득 은 5만불에 코스피 지수는 1만선을 넘었을.. 2024. 2. 5.
우울증은 질병인가 배부른 시대의 투정인가 이렇게 쓰면 ,,야 이 ******야,, 언젠 가 지하철을 타고 가던중 경로석에 앉은 시니어분들끼리 하는 말을 들었다. 한 젊은 억만장자가 우울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일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무럽이었는데 그 사인을 두고 오가 는 말이었다. ,, 라떼는 말이야, 우울증이라는 말조차 몰랐다고. 요즘 젊은 것들은 배때지가 불 러서 그래...,, 이 말을 듣고 주변에 ,욱,하는 사람이 있 었다면 그 영감탱이를 향해 아구창이 날 아갈법 한 분위기였지만 왠일인지 큰 소 란 없이 고요하기만 했다. 당시 열차안이 붐비지 않았기에 그 노인의 말을 들은 사 람이 별로 없었던 것 같기때문이기도 하 다. 그래서 안도의 한숨을 쉬기도 했으나 나 역시 그분의 발언이 듣기 거북했을 정 도였다. 그래도 우울증은 마음의 병.. 2024. 2. 5.
저출산이 호재라는 유튜버 최재천의 망언 최재천교수는 이른바 ,지식돌,로 불리는 학계의 이무진으로 유명하다. 그분의 동 영상은 내가 한창 유튜브에 매진할때 즐 겨본 바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계정변경 과 브로거를 병행하고 있어 이전만큼 즐 겨보진 않는다. 그러던 최근에 한 언론매 체를 통해 그에 대한 기사가 실렸는데 저 출산 현상에 대한 논설이었다. 그런데 그 가 말하는 우리나라의 저출산에 대해선 기회가 될수도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아 는 유튜브 영상 가운데 ,한국에서 애 낳으 면 바보,라는 섬네일을 본 기억이 있다. 아마도 우리나라의 출산환경이나 정책이 형편없기에 하는 소린가 했는데 사실상 반어법이었던 것이다. 지금 온 나라가 저 출산. 고령화로 인한 비명소리가 여기저 기서 터져나오고 있는데 대체 어느나라 입장에서 한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 2024. 2. 5.
긍정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 .조엘 오스틴의 이라는 도서가 있었다. 그런데 앞 제목만 같은 이에 대항마격으로 판단되는 도서가 얼마 후 출간된 적이 있었다. 제목이 이었던 걸로 안다. 그후로는 배신 시리즈가 봇물을 이루기도 했는데 후속작 중에는 이라는 도서도 나왔다. 그러고보니 이전 포스팅에서 내가 미련한 긍정보다 지혜로운 부정이 낫다고 작성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취지의 내용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내가 생각한 것과는 전혀 다른 논리였다. 그렇다면 무엇이 긍정적인 생각에 대해 뒤통수를 치는지 연구 대상이었다. 하긴 그 책이 쓰여지던 시기는 한창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전 세계인들이 부정 적인 생각에 빠지던 무렵이기도 했으니 어느정도 이해가 간다. 사진설명 : 부천하늘 2 우리나라도 1990년대 낙관만 하다가 위기에 대.. 2024. 2. 4.
반응형